오르막 내리막 경사가 심한 코스에서 클럽 선택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캐디 말만 듣고 칠수도 있지만 경사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스스로 판단해보는 것도 골프의 묘미입니다. 스크린 골프든 필드에서의 라운딩이든 좀 더 정교한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이번 글에서는 아이언 선택에 있어 경사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거리 측정기의 슬로프 계산이 정답인가?
일반적으로 거리측정기의 슬로프 계산을 참고할 수 있지만 모든 상황에서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아이언 클럽별로 탄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거리 측정기의 거리 보정 방식을 먼저 알아볼까요?
거리 측정기 경사도 계산 방식
일반적으로 거리 측정기는 측정하는 지점까지의 직선 거리를 측정하고, 해당 지점까지의 경사도를 측정합니다. 그럼 거리와 경사도를 감안해서 얼마를 더쳐야할지 덜쳐야할지를 계산해서 화면에 보여주게 됩니다.
- 150미터 거리, 7.5미터 경사에서의 거리측정기 계산 방법 예시
- 직선거리 150미터, 경사도 +5% 측정
- 목표지점의 높이 = 150m × 5% = 7.5m
- 거리 측정기 브랜드 고유의 계산 알고리즘으로 얼마나 더 쳐야할지 계산함.
- 가장 간단히 높낮이 1m당 비거리 1m로 계산 가능
하지만 같은 거리라도 사람마다 치는 클럽이 다르고 이에 따라 발사각, apex, 랜딩 앵글 등 궤적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에 단순히 측정기만 100프로 믿을 수는 없습니다.
아이언 별 탄도차이에 따른 랜딩 앵글이 핵심
자세한 설명을 위해 프로 선수들의 클럽별 스윙 수치들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클럽 | 발사각 (°) | Apex (y) | 캐리 비거리 (y) | 랜딩 앵글 (°) |
---|---|---|---|---|
드라이버 | 10.9° | 32 | 275~295 | 34~38° |
3번 우드 | 11.2° | 31 | 240~255 | 41° |
5번 우드 | 14.1° | 31 | 225~240 | 47° |
4번 아이언 | 11.0° | 30 | 200~210 | 46° |
5번 아이언 | 12.1° | 32 | 190~200 | 48° |
6번 아이언 | 14.1° | 32 | 180~190 | 50° |
7번 아이언 | 16.3° | 33 | 170~180 | 52° |
8번 아이언 | 18.1° | 34 | 155~165 | 55° |
9번 아이언 | 20.5° | 35 | 140~150 | 58° |
PW (피칭웨지) | 24.2° | 34 | 125~135 | 60° |
SW (샌드웨지) | 28.7° | 32 | 90~105 | 64° |
표에서 보시다시피 클럽이 길어질수록 발사각이 낮아지고 비거리가 늘어납니다. 특히 공이 땅에 떨어질 때의 각도인 랜딩 앵글 역시 점점 작아지는데요. 이 랜딩 앵글이 경사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에서 4번 아이언(파란색)과 피칭 웨지(빨간색)의 경우를 비교해보겠습니다. 4번 아이언은 200야드, 피칭 웨지는 130야드를 보내야 하고 목표지점의 높이가 둘 다 10야드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고도 차는 10야드로 동일하지만 두 클럽의 랜딩 앵글 차이로 인해서 짧아지는 거리의 차이가 나게 됩니다.
다시 말해 랜딩 앵글이 작은 롱 아이언일수록 경사도의 영향성이 커지기 때문에 더 많은 거리 보정을 해줘야합니다.

결론 : 긴 채일수록 경사의 영향이 커짐
10미터 업힐 상황에서의 클럽별 거리 보정의 한 예시 입니다.
클럽 | 탄도/스핀 | 보정량 (프로 기준) | 설명 |
---|---|---|---|
3번 우드 | 매우 낮음 / 스핀 적음 | +15~18m | 경사에 매우 민감. 탄도 낮아서 업힐에서 급격히 손해 |
4~5번 아이언 | 낮음 / 스핀 적음 | +12~15m | 거리 길고 탄도 낮아 업힐 영향 큼 |
6~7번 아이언 | 중간 / 스핀 보통 | +9~12m | 평균적 보정 필요 |
8~9번 아이언 | 높음 / 스핀 많음 | +6~9m | 탄도가 높아 경사 영향이 덜함 |
웨지 | 매우 높음 / 스핀 많음 | +3~6m | 보정 거의 없음, 그린에서 멈춤 |
이 표는 어디까지나 예시일 뿐이고 개개인 마다 스윙의 메커니즘이 다르고 타구의 궤적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만의 기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는 거리 측정기의 보정값에 의존하지말고, ‘직선 거리+고저차’를 파악하여 경사 계산 방법을 생각하여 자신만의 클럽별 보정 기준표를 만들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APEX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