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E 글로브 포인트 80위 가능할까? 윤이나 AIG 위민스 충격적 컷 탈락!

2025시즌 AIG 위민스 오픈. 1라운드에서 3언더파를 기록하며 반등의 기대를 모았던 윤이나 선수2라운드에서 링크스 코스의 강력한 바람을 이기지 못하고 8오버파를 기록하며 합계 5오버파로 컷 탈락을 하고 말았습니다. 최근 LPGA에 적응을 마친 것 처럼 서서히 폼이 올라오던 중이라, 이번 컷 탈락은 너무 아쉬웠습니다.
이번 컷 탈락으로 CME 글로브 포인트 순위도 하락을 피할 수 없게 되었는데요. 문제는 이제 이 포인트가 단순한 랭킹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점입니다.


🧭 CME 글로브 포인트란?

CME 글로브 포인트(Race to CME Globe)는 LPGA에서 매 시즌 선수들의 활약을 수치화해 순위를 매기는 포인트 시스템입니다. 각 대회에서의 성적에 따라 포인트를 획득하며, 이 순위는 시즌 마지막 대회인 ‘CME 그룹 투어 챔피언십’ 출전 자격뿐 아니라, 다음 시즌 출전권(시드)과도 직결됩니다.

CME 포인트 분배 방식

LPGA Race to Globe 페이지에서 참고한 내용입니다.

  • 일반 LPGA 공식 대회 우승자 : 500점
  • LPGA 메이저 5개 대회 우승자 : 30% 더해진 650점
  • 공동 순위의 경우 합산하여 나눠서 지급
  • 컷 통과한 선수에 한해 포인트 지급 (대회마다 컷 통과 순위가 다름)

대회별 CME 글로브 포인트

Finish PositionLPGA OfficialLPGA Major ChampionshipDow Championship
(per each player on team)
1500650410
2320416205
3230299132.5
418023495
5145188.577.5
612015667.5
710013058.5
89011754
98010450
107597.546
11709142
126584.538
13607834
145774.130
155571.526
165368.923.5
175166.321.5
184963.719.5
194761.117.5
204558.515.5
214355.913.5
224153.311.5
233950.79.75
243748.18.75
253545.57.75
263342.96.75
273140.35.75
282937.74.9
292735.14.5
302532.54.1
312431.23.7
322329.93.3
332228.62.9
342127.32.5
3520262.1
361924.71.85
371823.41.65
381722.11.45
391620.81.25
401519.51.05
411418.2
421316.9
431215.6
441114.3
451013
469.512.35
47911.7
488.511.05
49810.4
507.59.75
5179.1
526.58.45
5367.8
545.57.15
5556.5
564.86.24
574.65.98
584.45.72
594.25.46
6045.2
613.84.94
623.64.68
633.44.42
643.24.16
6533.9
662.83.64
672.63.38
682.43.12
692.22.86
7022.6
711.92.47
721.82.34
731.72.21
741.62.08
751.51.95
761.41.82
771.31.69
781.21.56
791.11.43
80+11.3

📈 CME 포인트의 권위는 왜 높아졌을까?

과거에는 CME 포인트가 단지 시즌 마지막 CME 그룹 투어 챔피언십 진출을 위한 수단이었습니다. 하지만 2021년부터는 제도가 바뀌어, 시즌 종료 시점에 CME 포인트 상위 80위 이내인 선수만 다음 시즌 LPGA 풀시드를 자동 부여받습니다.

2021년은 이전 시즌 상금 순위로 결정했지만, 2022년부터는 포인트 순위(CME 글로브 포인트)로 기준이 바꼈어요

LPGA는 시즌 시작 전 대회 출전권의 우선순위를 정리한 Priority List를 발표하는데요. 2021년과 2022년 Priority List를 비교해보면 카테고리 1번의 기준이 2021년 상금에서 2022년 포인트 순위로 바뀐걸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상금이 큰 대회의 출전권 역할만 하던 CME 글로브 랭킹이 다음 시즌 풀시드를 받기 위한 수단이 되면서 권위가 더 올라갔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윤이나는 내년 시즌을 위해서 몇 점이 더 필요할까? (2024시즌 예시)

각 시즌 별로 CME 글로브 랭킹 80위와 100위는 몇 점이었을까요?

시즌CME 포인트 80등(카테고리 1)CME 포인트 100등(카테고리 11)
2024Kristen Gillman (456.3점)Caroline Inglis (244.7점)
2023Olivia Cowan (382.1점)Lydia Ko (249.6점)
2022Emily Kristine Pedersen (379.8점)Caroline Inglis (217.7점)
2021Brittany Lincicome (381.3점)Stephanie Meadow (223.6점)

카테고리 1번으로 풀시드를 받기 위해서는 400점 전후에서 80등이 결정되는 것 같네요. 80등이라고 해서 꾸준히 컷 통과만 하면 가능할 줄 알았는데, 최하위권은 한자리 수 포인트만 받아서는 합계 400점을 만들기 쉽지 않습니다. 적어도 탑 10에 몇 번 들어야 80등에 진입 가능해보입니다.

현재 윤이나는 CME 글로브 포인트 236점으로 남은 대회에서 컷 통과만 몇번 더 하면 100위 안에는 무난히 들어 카테고리 11번 시드를 받을 수는 있어 Q 시리즈까지 내려갈 확률은 낮아보입니다. 하지만 안전하게 80등 안에 들기 위해서는 아직 200점 정도는 더 필요합니다. 탑 10에 2~3번 진입한다면 안정적인 풀시드를 받을 수 있을텐데 기복이 심한 올 시즌 기량을 보면 가능할지 물음표입니다.


✅ 결론

AIG 위민스 오픈에서 윤이나의 컷 탈락은 단순한 대회 실패가 아닌, 시드권과 투어 생존이라는 더 큰 문제로 연결됩니다. CME 글로브 포인트의 역할과 의미를 윤이나 선수 사례를 통해서 한번 알아봤는데요, 누가 1등할지도 중요하겠지만 누가 시드를 잃게 될지를 지켜본다면 또 하나의 볼거리가 될 수 있습니다.